메뉴 건너뛰기

성명서﹒보도자료

[보도자료] 한변, 인권침해를 자행한 정청래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

by 운영자1 posted Oct 02,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보도자료

담당위원 070-4519-8619(직통번호)

사무처 02-599-4434 | hanbyun.or.kr  

이메일 hanbyun@hanbyun.or.kr

한변, 인권침해를 자행한 정청래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

한변은 국가인권위가 인권침해자인 피진정인 정청래에게 출석요구를 하고 (국가인권위법 제36조 제1항 제1호) 정청래가 출석요구에 불응하면 천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국가인권위법 제63조 제1항 제2호) 정청래의 소속기관장인 국회의장에게 정청래를 징계할 것을 권고하라는 (국가인권위법 제44조 제1항) 진정을 오늘 국가인권위에 제기한다.

국회의원은 국회법상 모욕적 언사를 할 수 없고 함부로 타인의 발언을 방해할 수 없음에도 피진정인 정청래는 채상병 특검 입법 청문회에 출석한 증인들을 향하여 답변이 마음에 안 든다는 이유로 어디서 그런 버릇을 들였냐는 등의 모욕적인 언사로 발언을 가로막거나 방청인 또는 의원을 상대로만 행사할 수 있는 퇴장지시를 증인들을 상대로 행사하는 등 증인들에게 체벌에 가까운 모욕과 고통을 가함으로써 인격권을 심대하게 침해하였다.

정청래에 대한 징계는 그가 이미 저지른 명백한 인권침해에 대해서 내려져야 할 제재이기도 하고 장래에 그를 비롯한 다른 국회의원들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인권침해(예컨대, 한석훈 인권위원 후보가 국가인권위 상임위원회의 노란봉투법안 관련 결정에 전혀 관여하지 않았는데도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허위사실을 공표하여 한석훈 후보의 인권을 침해한 것)를 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치이기도 하다.

국가인권위가 정청래에 대한 징계를 권고했는데도 국회가 징계를 하지 않을 경우, 국회의장은 그 이유를 국가인권위에 통지하여야 하고, 국가인권위는 정청래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징계권고 이유와 국회가 정청래를 징계하지 않은 이유를 비교해서 공표할 수 있다. (국가인권위법 제25조 제4, 5항)

헌법이 국회의원에 부여한 면책특권은 국회 안에 국민을 불러들여놓고 전국민 앞에서 모욕과 망신을 주어 원하는 진술이나 정책의 방향을 억지로 이끌어내기 위한 폭거의 수단이 아니다. 면책특권을 포함한 국회의원의 여러 권한은 국익과 국민을 위하여 의정활동을 자유롭고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일 뿐이라는 것을 본 진정을 통하여 많은 국회의원들이 되새겨 국회의원이 헌법과 법률에 따른 책무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2024. 10. 2.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회장  이 재 원

 


  1. [성명서] 헌법재판소의 졸속 편파 재판을 규탄한다

    Date2025.02.13 By운영자1 Views410
    Read More
  2. [성명서] 울산시장 선거개입·하명수사 재판을 바로잡지 않으면 더이상은 공명선거도 사법정의도 기대할 수 없게 될 것이다

    Date2025.02.05 By운영자1 Views419
    Read More
  3. [성명서] 법원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재판을 신속하게 진행하라

    Date2025.01.22 By운영자1 Views384
    Read More
  4. [성명서] 폭력으로는 신뢰와 공정성을 잃어버린 사법부를 결코 회생시킬 수 없을 것이다

    Date2025.01.20 By운영자1 Views337
    Read More
  5. [성명서] 공수처는 극심한 갈등 초래를 중단하고, 탄핵 결정까지 강제수사를 유보하라

    Date2025.01.14 By운영자1 Views342
    Read More
  6. [성명서] 탄핵사유 중 내란죄 부분을 철회하려면 국회 재의결이 필요하고, 재의결이 없다면 탄핵사건은 즉시 각하되어야 한다

    Date2025.01.06 By운영자1 Views470
    Read More
  7. [성명서] 형사소송법의 명문규정도 적용되지 않는다는 수색영장, 명백한 사법권 남용이다

    Date2025.01.03 By운영자1 Views410
    Read More
  8. [성명서] 무안공항 항공사고 희생자를 추모하며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의 안정을 통해 사고수습에 총력을 다하라

    Date2024.12.30 By운영자1 Views384
    Read More
  9. [성명서] 탄핵사유도 정족수 해석도 엉터리 위헌인 한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민주당의  탄핵 소추안 발의를 규탄한다

    Date2024.12.27 By운영자1 Views593
    Read More
  10. [성명서] 박선영 진화위원장에 대한 유치한 퇴장조치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상습적인 탄핵협박은 민주주의의 퇴행일 뿐이다

    Date2024.12.24 By운영자1 Views395
    Read More
  11. [성명서] 민주당의 "반인권적 국가범죄의 시효 등에 관한 특례법안"은 법치주의와 사법체계를 붕괴시키는 위험한 시도다!

    Date2024.12.23 By운영자1 Views381
    Read More
  12. [성명서] 국정을 중단시키는 민주당의 위헌적인 탄핵 협박을 규탄한다

    Date2024.12.19 By운영자1 Views376
    Read More
  13. 헌법과 법치의 가치를 지켜내는 길 : 혼란 속에서도 자유민주주의를 향해

    Date2024.12.09 By운영자3 Views728
    Read More
  14. [보도자료/화요집회 제287차] 세계 젊은이들과의 북한인권 대화 -해외초빙 전문가 특강, 역사적관접에서 본 '독일통일'

    Date2024.12.03 By운영자02 Views306
    Read More
  15. [보도자료] 한변, 인권침해를 자행한 정청래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

    Date2024.10.02 By운영자1 Views387
    Read More
  16. [보도자료] 한변, 정근식 서울시교육감후보에 대해 역사,통일관에 대해 공개질의

    Date2024.10.04 By운영자1 Views339
    Read More
  17. [도서안내]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무엇이 문제인가

    Date2024.10.07 By운영자1 Views329
    Read More
  18. [보도자료] 한변, 네이버상 온라인 기사 댓글조작의 수사 촉구를 진정

    Date2024.10.18 By운영자1 Views327
    Read More
  19. [성명서] 북한의 우크라이나 파병은 대한민국이 용납할 수 없는 반인도적 전쟁범죄다

    Date2024.10.25 By운영자1 Views370
    Read More
  20. [성명서] 정부는 민노총이 더이상 노동조합이 아닌 반헌법적 정치집단임을 선언하고, 일체의 법적 보호를 중단하라

    Date2024.11.12 By운영자1 Views33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 Next
/ 3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