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서﹒보도자료

[보도자료 (성명서)]문 대통령은 나라의 정체성을 훼손한 반헌법적인 현충일 추념사 부분을 취소하고 호국영령과 국민에게 사죄하라

by 운영자02 posted Jun 11, 20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문재인 대통령은 6일 현충일 추념사에서, “임시정부는 중국 충칭에서 좌우합작을 이뤘고, 광복군을 창설했으며, 광복군에는 약산 김원봉 선생이 이끌던 조선의용대가 편입되어 마침내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을 집결했다. 통합된 광복군의 군사적 역량은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되고, 나아가 한미동맹의 토대가 되었다고 말하여 김원봉을 좌우 통합의 상징이자 국군의 뿌리라고 치켜세웠다.

2. 그러나 김원봉은 일제강점기 때 의열단, 조선의용대를 조직해 무장 투쟁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했고 임시정부에 가담한 바는 있지만 김구 주석의 임시정부를 탈취하려고 하였다는 평가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해방 이후에 불분명한 동기로 자진 월북하여 19488월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에 선출되어 그 해 98일 최고인민회의 제1차 회의에서 북한 최초 헌법 제정과 김일성 수상 추대에 참여하였다. 나아가 그달 9일 초대 국가검열상(검찰총장 겸 감사원장)에 올랐고, 그 해 11월 미군 주둔을 반대하는 성명을 홍명희 등과 함께 발표했다. 이어서 6·25 전쟁 발발 직후인 19507월에는 북한정권의 남한 지도부를 구성하였고, 19523월에는 북한 정권이 수여한 노력훈장의 첫 번째 수상자에 올랐고, 그 해 5월에는 국가검열상에서 노동상(노동부 장관)으로 직책이 바뀌어 노동력의 전시(戰時) 동원과 무기 생산 등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더 나아가 김원봉은 6·25 이전부터 남파 요원을 파견하여 대한민국 정부를 파괴·전복하고 인민공화국을 수립하도록 투쟁하였고, 6·25 전쟁 당시는 간첩 남파 작전을 직접 지휘했다(1954. 1. 26.자 경향신문).

3. 이와 같이 북한 정권 수립에 공헌했고 남침 주범의 한 사람으로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전복시키는 데에 앞장 선 김원봉을 문 대통령이 주로 6·25 전몰자를 기리는 현충일 추념사에서 칭송한 것은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반헌법적 처사다. 6월은 호국의 달이다. 김원봉이 국군의 뿌리라면 6·25 때 김원봉이 가담한 공산침략군과 싸우다 희생된 15만 국군장병은 무엇이 되나. 문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호국영령을 모독한 위 추념사 부분을 취소하고 호국영령과 국민들에게 사죄해야 할 것이다.

2019. 6. 11.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모임(한변)

상임대표 김태훈, 공동대표 석동현, 이헌, 채명성

 

 

 

 

 

?

  1. [보도자료] 방송, 유튜브와 표현의 자유 -‘방송통신위원회의 허위조작정보 규제추진 합당한가!’-

    Date2019.06.13 By운영자02 Views180
    Read More
  2. [보도자료 (성명서)]문 대통령은 나라의 정체성을 훼손한 반헌법적인 현충일 추념사 부분을 취소하고 호국영령과 국민에게 사죄하라

    Date2019.06.11 By운영자02 Views167
    Read More
  3. [보도자료 (성명서 )] 손석희 대표 경찰 수사, 검찰은 실체적 진실을 밝혀야!

    Date2019.06.04 By운영자02 Views209
    Read More
  4. [보도자료 (성명서)] 문 정권은 법치주의 파괴하는 민노총을 엄단하라

    Date2019.06.03 By운영자02 Views124
    Read More
  5. [보도자료] 북송 위기 8명 탈북민 가족과 한변 등 인권단체, 문 대통령에게 긴급 면담 요청( 시간 수정본)

    Date2019.06.03 By운영자02 Views172
    Read More
  6. [보도자료(성명서)] 여당은 한미정상 통화내용 공개 건에 대한 과잉대응을 자제하라

    Date2019.05.28 By운영자02 Views136
    Read More
  7. [보도자료] 김웅 기자 건에 대하여 편파·부실수사는 없어야

    Date2019.05.22 By운영자02 Views247
    Read More
  8. [보도자료] 자유한국당, 변호사연합 주최 및 한변, 보수ABC 주관 『문 정권 2년, 유린된 사법과 언론 토론회』5월 21일 개최

    Date2019.05.16 By운영자02 Views257
    Read More
  9. [보도자료] 대통령에 굴종하는 사법부를 규탄한다

    Date2019.05.15 By운영자02 Views219
    Read More
  10. [긴급 기자회견] 한변, 최저임금․주52시간 위반 형사처벌 조항 등 헌법소원 제기

    Date2019.05.14 By운영자02 Views280
    Read More
  11. [보도자료] 한변, 최저임금․주52시간 위반 형사처벌 조항 등 헌법소원 제기

    Date2019.05.13 By운영자02 Views256
    Read More
  12. [보도자료(성명서) 정부는 유튜브 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애국시민 김상진을 석방하라

    Date2019.05.11 By운영자02 Views165
    Read More
  13. [보도자료] 패스트 트랙 입법 지정의 문제점에 관한 긴급 토론회 개최

    Date2019.05.03 By운영자02 Views214
    Read More
  14. [보도자료] 한변 등 인권단체, 강제북송 위기 7명 탈북민 구출 위해 주한 중국 대사에게 긴급 면담 요청하고, 정부에도 대응촉구

    Date2019.04.30 By운영자02 Views192
    Read More
  15. [보도자료(성명서)] 패스트트랙 법안, 사법 장악에 이어 강행하는 입법 장악을 규탄한다!

    Date2019.04.26 By운영자02 Views203
    Read More
  16. [보도자료(성명서)] 관사 재태크나 하려면 대법원장은 그 직에서 물러나야

    Date2019.04.23 By운영자02 Views276
    Read More
  17. [공동 보도자료]주제 『공교육과 국민형성』- 부모님, 아이들은 이런 교과서로 배우고 있답니다.-

    Date2019.04.22 By운영자02 Views202
    Read More
  18. [보도자료] 법치수호의 날을 기념하여 자유와 법치를 위한 변호사연합 및 법치수호센터가 출범합니다.

    Date2019.04.22 By운영자02 Views440
    Read More
  19. [보도자료(성명서)] 김경수 지사 보석 허가, 대한민국 사법부는 사망하였는가?

    Date2019.04.17 By운영자02 Views205
    Read More
  20. [보도자료(성명서)] 이미선 후보자가 갈 곳은 헌재가 아니라 서울구치소가 아닌가!

    Date2019.04.15 By운영자02 Views29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33 Next
/ 3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