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서﹒보도자료

[성명서] 무안공항 항공사고 희생자를 추모하며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의 안정을 통해 사고수습에 총력을 다하라

by 운영자1 posted Dec 30,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명서

담당위원 070-4519-8619(직통번호)

사무처 02-599-4434 | hanbyun.or.kr  

이메일 [email protected] 

무안공항 항공사고 희생자를 추모하며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의 안정을 통해 사고수습에 총력을 다하라

29일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비행기 사고는 전 국민에게 깊은 슬픔과 충격을 안겨주었다. 이번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은 희생자들에게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며 유가족들에게도 진심 어린 위로를 전한다. 

현재 정부는 최상목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무안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피해자와 유가족들의 아픔을 헤아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권한대행 체제라는 한계 속에서도 정부가 피해자와 유가족들에게 실질적인 위로와 도움을 주기 위해 모든 가용 자원을 동원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단기적인 사고 수습을 넘어 정부 운영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사고와 같은 대형 참사가 발생한 시점에서 정치권은 협력과 공조를 통해 문제 해결에 힘써야 할 책임이 있다. 헌법재판관의 임명에 헌법재판소 출범 이래 존중되어온 여야 합의를 요구하였다는 이유로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탄핵하는 대한민국 헌정사에 유례없는 혼란을 야기한 민주당이 또다시 최상목 권한대행의 대행에 대한 탄핵 겁박과 같은 정쟁적 행태를 보인다면 사고 수습에 혼란을 가중시키고 피해자와 국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극도로 무책임한 행동이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제 정치권은 정파적 이익을 내려놓고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사고 수습과 재발 방지에 집중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한다. 국가적 비극 앞에서는 분열보다 화합이 필요하며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주력해야 마땅하다. 또한 권한대행의 책임 있는 대응이 지속될 수 있도록 여야를 비롯한 정치권과 국민이 정치적인 지지를 보내는 것은 국민의 안전과 사고 수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것이다. 

한변은 이번 무안공항 비행기 사고로 희생된 분들을 마음 깊이 추모하면서 필요한 법률지원 등의 활동을 모색하고자 하고, 이 비극적인 사태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하여 정부와 국민, 그리고 모든 정치 세력이 한마음으로 협력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2024. 12. 30.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회장  이 재 원

 

?

  1. [성명서] 형사소송법의 명문규정도 적용되지 않는다는 수색영장, 명백한 사법권 남용이다

    Date2025.01.03 By운영자1 Views134
    Read More
  2. [성명서] 무안공항 항공사고 희생자를 추모하며 최상목 권한대행 체제의 안정을 통해 사고수습에 총력을 다하라

    Date2024.12.30 By운영자1 Views107
    Read More
  3. [성명서] 탄핵사유도 정족수 해석도 엉터리 위헌인 한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민주당의  탄핵 소추안 발의를 규탄한다

    Date2024.12.27 By운영자1 Views317
    Read More
  4. [성명서] 박선영 진화위원장에 대한 유치한 퇴장조치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상습적인 탄핵협박은 민주주의의 퇴행일 뿐이다

    Date2024.12.24 By운영자1 Views115
    Read More
  5. [성명서] 민주당의 "반인권적 국가범죄의 시효 등에 관한 특례법안"은 법치주의와 사법체계를 붕괴시키는 위험한 시도다!

    Date2024.12.23 By운영자1 Views101
    Read More
  6. [성명서] 국정을 중단시키는 민주당의 위헌적인 탄핵 협박을 규탄한다

    Date2024.12.19 By운영자1 Views99
    Read More
  7. 헌법과 법치의 가치를 지켜내는 길 : 혼란 속에서도 자유민주주의를 향해

    Date2024.12.09 By운영자3 Views450
    Read More
  8. [보도자료/화요집회 제287차] 세계 젊은이들과의 북한인권 대화 -해외초빙 전문가 특강, 역사적관접에서 본 '독일통일'

    Date2024.12.03 By운영자02 Views30
    Read More
  9. [보도자료] 한변, 인권침해를 자행한 정청래를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

    Date2024.10.02 By운영자1 Views110
    Read More
  10. [보도자료] 한변, 정근식 서울시교육감후보에 대해 역사,통일관에 대해 공개질의

    Date2024.10.04 By운영자1 Views52
    Read More
  11. [도서안내]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무엇이 문제인가

    Date2024.10.07 By운영자1 Views54
    Read More
  12. [보도자료] 한변, 네이버상 온라인 기사 댓글조작의 수사 촉구를 진정

    Date2024.10.18 By운영자1 Views51
    Read More
  13. [성명서] 북한의 우크라이나 파병은 대한민국이 용납할 수 없는 반인도적 전쟁범죄다

    Date2024.10.25 By운영자1 Views96
    Read More
  14. [성명서] 정부는 민노총이 더이상 노동조합이 아닌 반헌법적 정치집단임을 선언하고, 일체의 법적 보호를 중단하라

    Date2024.11.12 By운영자1 Views57
    Read More
  15. [성명서] 이재명과 민주당은 법치파괴 책동을 즉각 중단하고 자숙하라

    Date2024.11.20 By운영자1 Views55
    Read More
  16. [성명서] 사드 군사정보 유출 등 문정권의 적폐와 비리를 청산하지 않으면 민주주의도 법치주의도 없다

    Date2024.11.22 By운영자1 Views77
    Read More
  17. [성명서] 사법 방해를 조장하는 이재명 위증교사 무죄 판결을 규탄한다

    Date2024.11.26 By운영자1 Views153
    Read More
  18. [성명서] 야당만 추천한 특별검사는 공정수사 가능성이 결여된 위헌적 존재에 불과해

    Date2024.12.03 By운영자1 Views59
    Read More
  19. [성명서] 야당만 추천한 특별검사는 공정수사 가능성이 결여된 위헌적 존재에 불과해

    Date2024.12.03 By운영자1 Views101
    Read More
  20. [성명서] 사법 방해를 조장하는 이재명 위증교사 무죄 판결을 규탄한다

    Date2024.11.26 By운영자1 Views12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3 Next
/ 3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