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서﹒보도자료

[성명서]헌법 수호와 북한 인권 옹호는 법조인의 선결조건 -탈북 여종업원의 북송을 주장하는 단체 출신 법조인은 대법관 자격이 없다 -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김명수 대법원장은 2일 신임 대법관으로 김선수 변호사, 이동원 제주지방법원장, 노정희 법원도서관장을 임명제청했다. 변협은 후보자들이 모두 공정한 판결과 법에 대한 식견을 갖추었고 현직 법관 2인, 변호사 출신 1인으로 구성되어 다양성의 조화를 이루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김선수 변호사는 현직 법관이 아닌 재야변호사가 대법관으로 임명제청된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적극 환영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성은 그것이 ‘출신의 다양성으로 포장된 이념의 편향성’이어서는 안 된다. 김 변호사는 노동사건 전문 변론을 해오면서 지나친 친노동으로 시장경제 체제에 대한 반감을 가진 것으로 의심되고, 무엇보다도 2014년 통진당의 변호인 단장을 맡아 헌법재판소 해산 결정 후 “헌재 자신에 대한 사망선고”라고 비난한 바 있다. 이는 헌법 수호 의지를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대법원 역시 통진당을 이끈 이석기 전 의원을 내란 선동 및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 등으로 유죄를 확정했다. 헌재와 대법원 판결을 전면 부인하는 성향의 법조인을 대법관 적임자로 보기 힘들다. 국회는 이미 통진당 해산 당시 헌재에서 유일하게 반대 의견을 냈던 김이수 헌재소장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을 부결시킨 바 있다.

 

더욱이 김 변호사가 회장을 맡았던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2016년 4월 사선을 넘어 귀순해 온 탈북 여종업원 12명의 송환을 요구하는 북한의 주장에 동조하고 있다. 이는 북한 인권에 대한 극심한 몰이해(沒理解)로써 도저히 수긍하기 어렵다. 김 변호사가 재야출신 변호사로서 환영받고 있지만 변호사는 기본적 인권을 옹호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함을 사명으로 한다(변호사법 제1조 제1항). 이는 변호사뿐만 아니라 모든 법조인에게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선결조건으로서, 헌법상 국민인 북한 주민의 열악한 인권을 외면하고 보편적 인권을 무시하고 있는 단체 출신의 법조인은 대법관의 자격이 없다고 보아야 한다.

 

2018. 7. 5.

한반도 인권·통일 변호사모임(한변)

회장 김 태 훈


  1. 2024 북한인권 법률문서·논문 공모전 계획

    Date2024.05.20 By운영자5
    read more
  2. [보도자료] 김경수 판결, 법치와 민주 회복의 계기가 되어야

    Date2019.01.31 By운영자02
    Read More
  3. [보도자료] 50년전 KAL기 납북문제는 조속히 해결돼야 하고, 그 이후에야 북한의 국제항공로 개설 논의는 가능하다

    Date2019.01.30 By운영자02
    Read More
  4. [보도자료]충격과 오욕, 사법부의 신뢰회복은 더 멀어졌다

    Date2019.01.25 By운영자02
    Read More
  5. [보도자료]한변, 국민생명 위협하는 「군사합의서」헌법소원 제기 기자회견

    Date2019.01.18 By운영자02
    Read More
  6. [보도자료(성명서)]신재민 전 사무관, 김태우 수사관은 공익제보자로서 보호되어야

    Date2019.01.09 By운영자02
    Read More
  7. [보도자료]한변, 2019 적용 최저임금 효력정지가처분 기각결정에 즉시항고 제기하고, 최저임금 위반시 형사처벌하는 최저임금법 헌법소원 제기(2018.12.24.)

    Date2018.12.26 By운영자02
    Read More
  8. [보도자료(성명서)] 사법부 신뢰회복을 위한 200인 변호사들의 긴급선언 <2018.12.11>

    Date2018.12.18 By운영자02
    Read More
  9. 보도자료(성명서) 문 대통령은 전 기무사령관 투신에 민·형사상 책임을 져야

    Date2018.12.09 By운영자02
    Read More
  10. [보도자료]한변, 세계인권선언 70주년 기념 북한인권공로상 시상 및 세미나 개최

    Date2018.12.07 By운영자02
    Read More
  11. [보도자료] 한변 및 KAL기 납치피해자가족회, 북한인권단체총연합 등 김정은 고발 -북한인권 외면하는 정상회담 추진 반대 릴레이 기자회견(5회)

    Date2018.12.03 By운영자02
    Read More
  12. [보도자료(성명서)] 김 대법원장은 사법부 독립을 훼손한‘신 사법농단’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

    Date2018.11.29 By운영자02
    Read More
  13. [보도자료]이산가족은 인권의 문제, 생사확인과 서신교환, 방문, 재결합을 허용하라-한변 및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등, 북한인권 외면하는 정상회담 추진 반대릴레이 기자회견(4회)

    Date2018.11.26 By운영자02
    Read More
  14. [보도자료]자유포럼 및 한변 등 단체들, 제73주년 신의주학생의거 기념세미나 개최 - 신의주반공의거 생존 학생들 참석

    Date2018.11.22 By운영자02
    Read More
  15. [보도자료]한변 및 정치범수용소 피해자들, 북한 김정은을 반인도범죄로 고발-북한인권 외면하는 정상회담 추진 반대 릴레이 기자회견(3회) <2018.11.20>

    Date2018.11.22 By운영자02
    Read More
  16. [보도자료] 북한에 억류된 자국민 외면은 대통령의 헌법상 책무위반! 한변 및 피랍탈북인권연대 등, 북인권 외면 정상회담 추진 반대 기자회견(2회)

    Date2018.11.11 By운영자02
    Read More
  17. [보도자료] 한변 등 시민단체,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생존권 위해 최저임금 효력정지 가처분 소송 제기

    Date2018.11.07 By운영자02
    Read More
  18. [보도자료]인권 없이 평화 없다! -북인권단체 및 피해자들, 북한인권 외면하는 정상회담 재추진 반대 기자회견

    Date2018.11.05 By운영자02
    Read More
  19. [성명서] 공공기관의 고용세습·친인척 채용비리를 엄단하라

    Date2018.10.26 By운영자02
    Read More
  20. [보도자료] 한변과 성통만사, 유엔본부에서 북한인권에 관한 특별행사 개최 (2018.10.20.)

    Date2018.10.23 By운영자02
    Read More
  21. [보도자료]한변 등 시민단체와 시민들, 김상조 공정위원장 직권남용 등으로 고발

    Date2018.09.26 By운영자0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30 Next
/ 3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