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서﹒보도자료

[보도자료] ‘강행규정’ 위반한 이재명 재판 법관들, 직무유기로 고발

by 운영자02 posted Apr 25,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강행규정’ 위반한 이재명 재판 법관들, 직무유기로 고발

 

 

강행규정은 당사자의 의사여하를 불구하고 강제적으로 적용되는 규정이며, 대한민국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적용되는 법률규정이다.
공직선거법에는 선거범과 그 공범에 대한 재판은 다른 재판에 우선하여 기소된 날부터 1심은 6월 이내에, 2심과 3심은 전심 선고일부터 3월 이내에 반드시 선고해야 한다고 ‘강행규정’으로 못박아 놓았고(제270조), 피고인이 소환을 받고도 정당한 사유없이 출석하지 않으면 2회 공판기일부터는 피고인 없이 공판절[보도자료] ‘강행규정’ 위반한 이재명 재판 법관들, 직무유기로 고발차를 진행할 수 있다는 특별규정까지 마련해 두고 있으며(제270조의2 제2항), 법원의 ‘선거범죄사건의 신속처리 등에 관한 예규’에서는 ‘선거전담재판부’까지 조직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서울중앙지방법원 재판부는 2022. 9. 8.에 기소된 피고인 이재명에 대한 공직선거법위반죄 사건에 대하여, 법문상으로 강행규정에 따라 당연히 2023. 6. 8.까지 판결을 선고했어야 마땅하였음에도 현재까지 재판을 위한 심리조차 제대로 진행하지 않고 있다. 
만일 일반 국민이 공직선거법위반죄로 기소가 되었다면, 판결 선고까지 6개월 넘길 수 있었을까. 일반 공무원이 법률에서 ‘강행규정’에 의해 부여된 특정 업무의 처리시한을 한없이 도과하고 이를 명백히 위반하였다면 이들이 직무를 고의로 유기하였다는 직무유기죄의 죄책을 과연 면할 수가 있었을까.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재판에서는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 제10조에 따라 ‘강행규정’이라는 명시적인 문구가 없었음에도 매주 4일 내지 3일씩 재판을 강행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2010년 이전부터 쟁점이 많은 사건은 집중심리를 위한 공판준비절차 등을 통해 신속히 판결을 내리도록 사전에 정비해 두었던 제도를 십분 활용하였던 것이다.
법원은 이유를 알 수 없으나 피고인 이재명에 대한 공직선거법위반죄 사안에서는 한없이 넓은 아량으로만 대하고 있고, 법관들 스스로 공직선거법 제270조가 명시하고 있는 ‘강행규정’이라는 법규정을 무시하면서 그들 스스로의 직무를 유기하고 있다.
이에 한변은 헌법과 법치주의를 훼손하고 있는 서울중앙지방법원 담당 재판부 법관들에 대해, 일반국민들과는 다른 특정 정치인 피고인에게만 ‘특혜’로 비춰질 수있는 직무유기 행위 를 자행하고 있음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고자 수사기관에 고발장을 제출하는 바이다.

 

 

2024. 4. 25.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회장  이 재 원

 

 

담당위원 070-4519-8619(직통번호)
사무처 02-599-4434 | hanbyun.or.kr  
이메일 [email protected]

 

?

  1. [제262차 화요집회] 21대 국회 종료 앞두고 북인권법 정상시행을 재 촉구한다

    Date2024.06.11 By운영자02 Views60
    Read More
  2. [긴급기자회견] 한 중 일 3국 정상회의는 중국의 강제북송 중단을 선언해야

    Date2024.06.11 By운영자02 Views56
    Read More
  3. [제264차 화요집회 ] 국제사회에 부끄럽다 즉각 북한인권법을 정상 시행하라

    Date2024.06.11 By운영자02 Views42
    Read More
  4. [한변 보도/ 법률신문] 한변, '북한인권' 법률문서·논문 공모전 열어

    Date2024.06.10 By운영자02 Views78
    Read More
  5. [한변 현안논평] 예비군훈련 등 병역의무 이행으로 인한 불이익 부과 행태 근절해야

    Date2024.05.28 By운영자02 Views71
    Read More
  6. [제261차 화요집회] 유엔 서울사무소장과 세계 청년들의 북한인권 간담회

    Date2024.05.21 By운영자02 Views79
    Read More
  7. [제259차 화요집회] 강제북송 계속하는 중국, 인권이사국 사퇴하라!

    Date2024.05.21 By운영자02 Views102
    Read More
  8. [258차 화요집회] 강제북송 계속하는 중국의 인권이사국 자격을 박탈하라!

    Date2024.05.21 By운영자02 Views68
    Read More
  9. [한변 성명서]재판거래 의혹에 대하여 사법부는 결자해지의 자세를 가져야

    Date2024.05.14 By운영자02 Views75
    Read More
  10. [성명서] 잘못된 공론화위원회가 내놓은 잘못된 국민연금 개혁안

    Date2024.05.09 By운영자02 Views101
    Read More
  11. [보도자료] 지원금살포약속 더불어민주당과 이재명을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고발

    Date2024.05.07 By운영자02 Views105
    Read More
  12. [ 한변 현안논평]주한미군 철수 운운한 트럼프후보에 대한 정부입장발표가 필요하다

    Date2024.05.02 By운영자02 Views65
    Read More
  13. [성명서] 공수처의 무리한 채상병 관련 수사가 군 사기를 꺽는다

    Date2024.05.01 By운영자02 Views67
    Read More
  14. [보도자료] ‘강행규정’ 위반한 이재명 재판 법관들, 직무유기로 고발

    Date2024.04.25 By운영자02 Views147
    Read More
  15. [제256차 화요집회] 국제형사재판소(ICC) 아시아 지부는 한국에 설치해야

    Date2024.04.16 By운영자02 Views72
    Read More
  16. [보도자료] 한변, 이종근 변호사에 대한 징계청원 및 고발 추진

    Date2024.04.09 By운영자02 Views95
    Read More
  17. [제255차 화요집회] 북한인권법 부활, 보편적가치 회복을 위한 국민 결집을 호소함!

    Date2024.04.08 By운영자02 Views75
    Read More
  18. 2024-4-8 한변 현안논평

    Date2024.04.08 By운영자02 Views72
    Read More
  19. 2024-4-5 한변 현안논평

    Date2024.04.05 By운영자02 Views74
    Read More
  20. 2024-4-3 한변 현안논평

    Date2024.04.05 By운영자02 Views7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3 Next
/ 3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