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서﹒보도자료

[보도자료] 한변, 소상공인·자영업자, 근로자 생존권 수호 위해 최저임금 효력정지 가처분 등 소송 제기하기로

by 운영자02 posted Sep 17, 20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일시 : 2018. 9. 18.() 10:00-11:30

장소 :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1. 고용노동부장관은 2018. 7. 20. 시간급 8,350원을 사업의 종류별 구분 없이 전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2019년 적용 최저임금안을 고시했다. 2018년 최저임금 인상률은 16.4%로서 직전 5년 평균(7.4%)보다 무려 9%나 높은데, 다시 2019년 최저임금을 전년 대비 10.9% 인상한 것이다.

2. 이러한 급격하고도 일률적인 최저임금 인상으로 폐업 등 위기에 몰리게 된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은 소상공인 생존권 운동연대를 결성하고 지난 829일 서울 광화문에서 사상 최초로 다양한 업종 3만여 명이 한데 모여 최저임금 인상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소상공인 대다수는 기업에서 일하다가 밀려나거나 어렵게 자기 가게를 마련한 음식점·PC·미용실 등으로 그 삶은 노동시간과 소득 측면에서 노동자보다 더 힘든 상황에 처한 생계형 자영업자들이다.

3. 뿐만 아니라 살인적인 최저임금 인상은 바로 최저임금제도의 보호대상인 저학력·저숙련 근로자를 노동시장에서 퇴출하고 있다. 지난 7, 8월의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수 증가는 참사 수준인 5천명과 3천명에 그쳤다. 정권이 신앙처럼 국민에게 강요하고 있는, 이론적으로는 물론 정책적으로도 그 유효성이 확인된 바 없는 소득주도성장이론에 의한 최저임금 인상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질서를 훼손하고 경제적 약자를 벼랑 끝으로 몰고 있는 것이다.

4. 이에 한변은 소상공인·자엽업자 및 근로자 등의 생존권을 수호하기 위해 뜻있는 시민들이 발족하는 최저임금 폭주저지 시민모임소상공인 생존권운동 연대의 취지에 공감하고 오는 18일 프란치스코 회관에서의 토론을 거쳐 고용노동부의 2019년 최저임금 고시의 취소 및 효력정지 가처분 소송 등을 제기할 방침이다.

 

2018. 9. 16.

 

한반도 인권·통일 변호사 모임(한변)

회장 김 태 훈

공익소송센타장 이상철, 석동현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 [보도자료]한변, 2019 적용 최저임금 효력정지가처분 기각결정에 즉시항고 제기하고, 최저임금 위반시 형사처벌하는 최저임금법 헌법소원 제기(2018.12.24.) file 운영자02 2018.12.26 264
137 [보도자료(성명서)] 사법부 신뢰회복을 위한 200인 변호사들의 긴급선언 <2018.12.11> 운영자02 2018.12.18 251
136 보도자료(성명서) 문 대통령은 전 기무사령관 투신에 민·형사상 책임을 져야 file 운영자02 2018.12.09 1045
135 [보도자료]한변, 세계인권선언 70주년 기념 북한인권공로상 시상 및 세미나 개최 file 운영자02 2018.12.07 206
134 [보도자료] 한변 및 KAL기 납치피해자가족회, 북한인권단체총연합 등 김정은 고발 -북한인권 외면하는 정상회담 추진 반대 릴레이 기자회견(5회) file 운영자02 2018.12.03 228
133 [보도자료(성명서)] 김 대법원장은 사법부 독립을 훼손한‘신 사법농단’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라! file 운영자02 2018.11.29 477
132 [보도자료]이산가족은 인권의 문제, 생사확인과 서신교환, 방문, 재결합을 허용하라-한변 및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등, 북한인권 외면하는 정상회담 추진 반대릴레이 기자회견(4회) file 운영자02 2018.11.26 238
131 [보도자료]자유포럼 및 한변 등 단체들, 제73주년 신의주학생의거 기념세미나 개최 - 신의주반공의거 생존 학생들 참석 file 운영자02 2018.11.22 177
130 [보도자료]한변 및 정치범수용소 피해자들, 북한 김정은을 반인도범죄로 고발-북한인권 외면하는 정상회담 추진 반대 릴레이 기자회견(3회) <2018.11.20> file 운영자02 2018.11.22 190
129 [보도자료] 북한에 억류된 자국민 외면은 대통령의 헌법상 책무위반! 한변 및 피랍탈북인권연대 등, 북인권 외면 정상회담 추진 반대 기자회견(2회) file 운영자02 2018.11.11 232
128 [보도자료] 한변 등 시민단체, 소상공인·자영업자 등 생존권 위해 최저임금 효력정지 가처분 소송 제기 file 운영자02 2018.11.07 188
127 [보도자료]인권 없이 평화 없다! -북인권단체 및 피해자들, 북한인권 외면하는 정상회담 재추진 반대 기자회견 file 운영자02 2018.11.05 190
126 [성명서] 공공기관의 고용세습·친인척 채용비리를 엄단하라 file 운영자02 2018.10.26 297
125 [보도자료] 한변과 성통만사, 유엔본부에서 북한인권에 관한 특별행사 개최 (2018.10.20.) file 운영자02 2018.10.23 182
124 [보도자료]한변 등 시민단체와 시민들, 김상조 공정위원장 직권남용 등으로 고발 file 운영자02 2018.09.26 320
» [보도자료] 한변, 소상공인·자영업자, 근로자 생존권 수호 위해 최저임금 효력정지 가처분 등 소송 제기하기로 file 운영자02 2018.09.17 372
122 [성명서] 사법부 70주년에 대한 소회와 앞으로의 기대 file 운영자02 2018.09.13 290
121 [보도자료] 인권문제 외면한 판문점 선언의 비준·동의를 반대하고, 3차 남북 정상회담 의제에 북한인권 포함을 거듭 촉구한다 file 운영자02 2018.09.09 306
120 [보도자료] 한변, 제1회 북한인권상 수상자로 태영호 전 북한공사 선정 file 운영자02 2018.09.02 229
119 [성명서] 군사안보지원사령부 감찰실장을 검사 등으로 보한다는 규정은 위헌 1 file 운영자02 2018.08.23 418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33 Next
/ 33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