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요활동﹒언론보도

언론보도

[언론보도/스카이데일리] 제5회 한원채인권상 특별상에 김문수 장관‧김태훈 변호사 선정

by 운영자02 posted Dec 03, 2024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image.png

제5회 한원채인권상 특별상에 김문수 장관‧김태훈 변호사 선정
본상엔 윤여상 NKDB 설립자‧이영환 TJWG 대표 영예
시상식 19일 오후 5시 스카이데일리 10층 SKY라운지
주최 한원채인권재단‧주관 스카이데일리‧후원 트루스코리아
차오름 기자 기자페이지 +입력 2024-12-02 22:44:08
 
 
한원채인권재단(이사장 한봉희)이 시상하는 제5회 한원채인권상에 윤여상(57) 북한인권정보센터(NKDB) 설립자(현 북한인권기록보존 소장정치학 박사)와 세계 여러 전환기 사례의 교훈과 시행착오를 반면교사 삼아 다가올 북한의 전환기를 실질적으로 대비하는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Transitional Justice Working GroupTJWG) 대표가 선정됐다
 
특별상 부문엔 국회의원 시절 북한인권법 제정에 큰 공을 세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한변설립자로 지금은 명예회장으로 있는 김태훈 ()북한인권 이사장(변호사)이 선정됐다.
 
 
시상식은 27일 오후 5시 스카이데일리가 입주한 서울 중구 충정로 청양빌딩 10층 스카이라운지에서 진행된다.
 
한원채인권상은 아내·세 자녀와 함께 탈북했다가 중국에서 체포돼 세 번째 강제북송 3일 만에 고문사한 한원채(韓元彩·19432000) 선생을 기리기 위해 탈북 한의사 한봉희 100년한의원(일산원장이 북한인권 신장과 통일운동에 헌신해 온 인사에게 주는 상이다. ‘탈북하지 못한 탈북인’ 한원채 선생은 한국어·일본어·영어로 펴낸 수기 노예공화국 북조선 탈출을 통해 북한의 비인도적 인권 실태를 적나라하게 폭로했다.
 
 
한원채인권재단 관계자는 본상 수상자 두 분과 특별상 수상자 두 분 모두 북한 인권 신장과 통일 운동에 지속적인 관심과 특별한 실천 등 숭고한 헌신을 오랫동안 해온 게 평가됐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 윤여상 북한인권정보센터 설립자
윤여상 수상자는 군대 생활을 휴전선 GP에서 북한군과 마이크로 직접 심리전을 펼치는 대면병으로 근무하며 북한과 관계를 맺은 후 1980년대부터 탈북인 관련 석사박사 학위논문을 쓰면서 자연스럽게 북한인권 활동가의 길로 들어섰다.
 
 
1999년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가 생기면서 입소한 탈북인 전수조사를 통해 북한인권 피해 자료를 수집하다가 2003년 북한인권정보센터를 설립하고, 2007년에 산하 북한인권기록보존소를 개소하였다.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조사 결과물 북한인권백서와 북한종교자유백서를 해마다 발간했다. 2023년 11월엔 북한인권박물관도 개관했다.
 
영남대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은 윤 소장은 북한대학원대 겸임교수미국 존스홉킨스대 국제대학원(SAIS) 방문학자납북피해자 보상 및 지원심의위원회 위원통일부 북한인권증진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국민대 법무대학원 통일융합법무전공 교수민주평통 상임위원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자문위원천주교주교회의 민족화해위원회 전문위원평화나눔연구소 연구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주요 관심 연구분야는 북한인권북한이탈주민납북자와 국군포로이산가족월북자와 비전향장기수과거청산과 통일대비그리고 북한 사람들의 삶의 모습 등이며이와 관련된 100여 편의 저서와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 이영환 전환기정의워킹그룹 대표
수상자 이영환 대표가 이끄는 전환기정의워킹그룹은 2014년 9월 2014년 9월 유엔북한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를 계기로 서울에 설립된 비영리 인권조사 기록단체로 무력분쟁이나 독제 체제로부터 전환 중이거나 아직 전환이 이뤄지지 않은 사회에서 대규모 인권 침해를 다루는 모범사례를 개발하고 정의를 구현하는 게 목표다. TJWG 창립을 주도하고 현재까지 이끌고 있는 이 대표가 견지하는 원칙 중 하나는 국내 자금 지원은 절대 안 받는다는 점이다.
 
 
TJWG는 정보기술과 법과학을 활용한 인권과 정의의 옹호 인권범죄기록의 체계적 수집과 관리과학적 증거 확보와 활용피해자 중심 접근을 위한 프로젝트를 기획실행하는 조직이다갑작스럽게 닥칠 전환기에 해야 하는 유해 발굴강제 이주인권 유린 가해자 처벌 및 피해자 배상과 구제 등을 위해 조사기록에 집중하고 있다다음 세대를 위한 인권 교육에도 치중한다.
 
 
전환기정의는 북한 등 전 세계에서 벌어지는 처형·고문·실종 등 반인도 범죄를 지도화(Mapping·매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매핑이란 북한 내 처형 장소와 암매장 등 시체 처리장소인권 침해 관련 문서나 증거가 있을 만한 장소들을 지도에 표시하는 작업을 의미한다정보 수집과 분석 등 전 과정은 탈북인 인터뷰와 공간지리정보(GIS) 기술 적용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지금까지 수천 명의 탈북인을 면담하며 2017년부터 2년마다 보고서를 내고 있다.
 
 
전환기정의는 구금과 가혹한 고문강제노역은 물론 심지어 처형까지 당하는 강제북송 역시 강제실종(국가기관 혹은 국가 역할을 자임하는 조직이나 개인에 의해 체포감금납치돼 실종되는 범죄 행위)에 포함되는 만큼 탈북인의 생사와 향방을 계속 추적하고 있다최근 들어선 강제 북송에 관여하는 중국 당국의 책임성과 관여 정도에 대한 조사도 강화하고 있다.
 
 
▲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특별상 수상자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2005년 8월 17대 국회의원으로 재직 시 북한인권법을 최초로 발의한 인물이다북한인권 관련 법안을 제정하기 위해 미국 의회와 인권단체를 찾아서 북한인권 실태와 인권법 제정 경위를 파악한 것은 물론 중국태국베트남캄보디아라오스 등 동남아시아의 탈북인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 차례 방문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김 장관은 북한인권법 이외에도 남북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안 납북 피해자 지원등에 관한 법률안 국군포로 대우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 등 4개의 북한인권 관련 법안을 더 발의했다.
 
2016년 북한인권법이 발의 11년 만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지 김 장관은 이제부터라도 북한 주민 스스로 민주화와 개혁·개방의 길을 찾을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 연대해서 인권개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2400만 북한주민과 함께 자유와 번영을 누리는 선진 통일강국을 향해 나아가는 첫 걸음이 될 것” “북한인권 개선은 한반도 평화통일과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여는 열쇠이자 북한 핵에 맞서는 가장 강력한 무기라고 발언했다.
 
▲ 김태훈 (사)북한인권 이사장·한변 명예회장·변호사
특별상 수상자 김태훈 이사장은 판사 출신 변호사다. 2006년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을 맡으면서 북한 인권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해 인생이 송두리 채 바뀌었다. 2007년 노무현김정일 간 남북정상회담 직전 정부에 정치범수용소납북자 문제를 북쪽에 얘기하라고 제안했지만 북한 내부 문제이니 적절치 않다는 주장에 밀려 무산됐다.
 
“(북녘)동포가 죽어가는 것을 빤히 보면서 인권 빼고 통일한다고 떠드는 것은 위선이라는 소신으로 그때부터 북한 주민의 알권리를 위한 대북전단지 보내기 지원 국가인권위원회 결의안 통과 북한인권기록센터 설립 북한 인권 침해 사례 기록집’ 발간 등을 성사시켰다.
 
2013년 9월엔 북한 주민의 인권 증진을 목표로 하는 법률가 단체인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한변)을 창립해 초대 회장을 맡았다북한인권법이 제정됐음에도 더불어민주당의 몽니로 북한인권재단 설립이 차일피일 미뤄지자 2014년 10월부터 국회의사당 앞에서 북한인권재단 설립을 촉구하는 화요집회를 시작해 10년째 지속하고 있다.
 
2019년 11월 선박을 이용해 동해로 탈북한 북한 청년 2명을 문재인정부가 5일 만에 포승으로 팔을 묶고 안대를 채운 채 불법 강제 북송시킨데 강력 반발해 탈북인 인권 단체들과 100여 일간 천막 시위에 동참했다.
 
 
 
한편, 2020년 제1회 한원채인권상 수상자는 동료 탈북여성에게 자신의 장기()를 기증하고 북한 인권을 주창하며 12일간 목숨을 건 단식을 한 김태희 탈북민연대 대표와 30년 이상 통일 활동과 북한인권 외길로 언론인 생활을 해 온 조정진 스카이데일리 대표가 받았다.
 
 
2021년 제2회 한원채인권상 수상자는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가짜 인권가짜 평화위선자라고 외치다 구속됐던 정창옥 길위의학교 긍정의힘 단장과 영국에서 북한인권운동을 펼치고 있는 박지현 징검다리 공동대표가 본상을그리고 지성호 미래통합당 21대 국회의원(현 이북5도위원회 함경북도 도지사)이 특별상을 수상했다.
 
 
2022년 제3회 한원채인권상은 30년 이상 교육을 통한 탈북인 정착과 의료 지원에 앞장서 온 신미녀 ()새롭고하나된조국을위한모임(새조위상임대표와 동해 탈북청년 강제 북송에 항의하며 14일간 단식 등 꾸준히 북한인권운동을 해오고 있는 성현모 남북함께국민연합 사무총장(목사)이 본상을박근혜 제18대 대한민국 대통령과 박선영 ()물망초 이사장이 특별상을 수상했다.
 
 
 
2023년 제4회 한원채인권상은 북한인권정보센터(NKDB) 초대 이사장을 지낸 원로 북한인권 운동가 김상헌 북한인권 제3의길 대표와 탈북소녀 김한미 양 가족과 그림일기 눈물로 그린 무지개의 소년 작가 탈북인 장길수 가족 구출 등에 앞장 선 행동하는 북한인권 운동가 문국한 북한인권국제연대가 수상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57 주요활동 2024국제모의재판 사진 file 운영자02 2024.12.03
» 언론보도 [언론보도/스카이데일리] 제5회 한원채인권상 특별상에 김문수 장관‧김태훈 변호사 선정 file 운영자02 2024.12.03
455 언론보도 [언론보도/뉴데일리]北 김정은 '반인도적 범죄 행위' 모의 재판 … "북한 인권 문제 지속적인 관심 필요" 운영자02 2024.12.03
454 언론보도 [언론보도/법률신문] 한변·북한인권 등 '북한 정치범수용소의 반인도범죄에 관한 국제모의재판' 개최 운영자02 2024.12.03
453 언론보도 [언론보도/ 월간조선 뉴스룸] "이재명 무죄판결, 법적 판단의 일관성 저버리고 국민적 상식 거스른 것”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운영자02 2024.12.03
452 언론보도 [언론보도/파이낸스투데이] 한변 "文정권 적폐.비리 청산하지 않으면 민주주의도 법치주의도 없다" 운영자02 2024.12.03
451 언론보도 [언론보도/뉴데일리 줌 인터뷰] 이재원 한변 회장 "민노총은 민주주의 파괴하는 범죄 집단 … 하루 빨 리 해산해야" 운영자02 2024.12.03
450 언론보도 [언론보도/뉴데일리] 한변 "우원식, 북한인권재단 추천 판결 불복 … 의회민주주의 부정" 운영자02 2024.12.03
449 언론보도 [언론보도/디지털타임스] 나경원·한변 "北인권재단 이사 추천 8년 버려둔 野, `위법` 판결 불복한 국회의장" 운영자02 2024.12.03
448 언론보도 [언론보도] 인권위 “정부, 北선원 강제송환 관련 인권침해 개선권고 수용” 운영자02 2024.12.03
447 언론보도 [언론보도/연합뉴스] 인권위 "정부, 北선원 강제송환 관련 인권침해 개선권고 수용" 운영자02 2024.12.03
446 언론보도 [언론보도/Chosun Biz] 탈북 주민 뜻과 다르게 북송 안 돼” 인권위 권고, 통일부·국정원 수용 운영자02 2024.12.03
445 언론보도 [언론보도/일요신문] 최순실 조카도 당했다…검찰 ‘통신조회’ 대상자들 법적 대응 돌입 운영자02 2024.12.03
444 언론보도 [언론보도/아주경제] "공수처 통신조회로 사찰당했다"...한변, 국가에 손배소 2심도 패소 운영자02 2024.12.03
443 언론보도 [언론보도/TV CHOSUN 뉴스] 法 "공수처 통신조회는 적법"…한변, 국가배상 2심도 패소 운영자02 2024.12.03
442 언론보도 [언론보도/법률신문] [판결] 한변 "공수처 통신조회 사찰" 손배소 항소심 패소 운영자02 2024.12.03
441 언론보도 [언론보도/뉴스웍스] 한변, 중국인 조직적 개입 네이버 댓글조작 수사 촉구 운영자02 2024.12.03
440 언론보도 [언론보도/펜N마이크] 자유·우파 변호사 모임 '한변', "친일·독재 판 친다" 서울시교육감選 진 보 단일 후보 정근식 씨에게 공개 질의 운영자02 2024.12.03
439 언론보도 [언론보도] 한변, "청문회 증인 '10분 퇴장' 조치는 국회 내 인권침해"...인권위에 정청래 의원 진정 제기 운영자02 2024.12.03
438 언론보도 [ 언론보도/뉴스웍스] 한변, 뉴스제휴 특혜 의혹 '네이버' 공정위 신고…네이버는 '무대응' file 운영자02 2024.12.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