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요활동﹒언론보도

언론보도

[언론보도/ 뉴데일리] 한변 "中, 작년 11~12월에도 탈북자 100명 강제북송"

by 운영자02 posted Feb 01, 20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뉴데일리 로고

한변 "中, 작년 11~12월에도 탈북자 100명 강제북송"

  • 조문정 기자
  • news font button
  • news print button
  • 댓글 수0
"유엔인권이사국인 中, 강제송환금지 원칙 위반"프리덤조선 "中경찰, 강제북송 진행중이라고 시인"
  • 변호사단체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한변)'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 앞에서 제243차 화요집회를 열었다. ⓒ한변 제공
    ▲ 변호사단체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한변)'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 앞에서 제243차 화요집회를 열었다. ⓒ한변 제공
    중국이 지난해 10월 600여 명에 이어 11월과 12월에도 약 100명의 탈북자를 강제 북송했다고 변호사단체 '한반도인권과통일을위한변호사모임(한변)'이 16일 주장했다.
     
    한변은 이날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 앞에서 화요집회를 열고 "중국은 이미 1951년 난민협약과 1984년 고문방지협약에 가입했고, 더욱이 유엔 인권이사국의 지위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강제송환금지(농르풀망, non-refoulement) 원칙을 위반하는 것은 극히 개탄할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 탈북자 출신인 장세율 '프리덤조선' 편집국장은 이날 뉴데일리와 통화에서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경찰 관계자는 '탈북자 강제송환(강제북송)은 중조(북중) 두 국가 간 협약으로 이행되는 사항으로 중국정부의 특별한 시정조치나 행정명령이 내려지지 않는 한 계속될 것'이라며 북송사실을 시인했다"고 밝혔다.
     
    장 국장에 따르면 해당 경찰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대규모 북송은 코로나 봉쇄로 3년 넘게 송환업무가 중지됐기 때문"이라며 앞으로의 송환업무는 코로나 이전시기와 같이 정상적인 방법으로 진행될 것임을 시사했다.
     
    장 국장은 북한 내 복수의 정보원 증언을 토대로 "중국내 탈북자 강제북송은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평안북도 신의주 소식통은 프리덤조선에 "지난해 11월20일쯤, 도 보위부 반탐처 외사부는 중국 단둥시 공안부로부터 30여 명의 강제송환 인원을 접수하고 신의주 세관을 통해 이송했다"며 "중국에서의 근로계약 종결로 귀국하는 근로자들과 같은 차량으로 편성돼 입국했다"고 전했다.
     
    양강도 소식통은 "지난해 11월 말, 도 보위부 구류소에 10여 명의 도 내 탈북자가 새로 들어왔고 12월 말에도 20명 넘는 도내 탈북자가 또 들어왔다", 함경북도 온성군 소식통은 "지난 12월26일 남향세관을 통해 45인승 버스로 35명의 탈북자가 북송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프리덤조선에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한변은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와 유엔난민기구(UNHCR)를 향해 "즉시 실태를 파악하고, 중국의 해명과 구제대책 및 재발방지대책을 촉구"할 것을 요구했다.
     
    이어 "중국은 '북송된 탈북자들이 북한에서 고문 등 피해를 입는 일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북한의 고문 사실을 증언할 탈북 피해자들은 너무나도 많이 있다"며 "중국이 강제북송을 멈추지 않을 경우, 중국은 더 이상 유엔 인권이사국의 자격이 없다. 유엔은 즉시 중국의 유엔 인권이사국 자격을 박탈하는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 한국 정부도 즉시 실태를 파악하고 마땅한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정례 브리핑에서 이에 대해 사실 확인을 요청받고 "정부는 탈북민(탈북자) 관련한 구체사항에 대해서 확인해 드리지 않는 점을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임 대변인은 이어 "우리 정부는 '어떤 경우에도 탈북민들이 자유의사에 반해 강제 북송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라며 "탈북민들이 자유의사에 반해 강제 북송되지 않고 희망하는 곳으로 안전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갈 수 있도록 양자·다자 차원의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있다. ⓒ뉴시스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해 있다. ⓒ뉴시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에서 "북한이탈주민(탈북자)은 대한민국헌법에 따라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며 외교부를 향해 "탈북민들을 더욱 잘 보호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 10일 외교부는 오는 23일 유엔 인권이사회가 중국 정부를 상대로 진행하는 보편적 정례 인권검토(UPR)을 앞두고 한국 정부 사상 최초로 사전 서면질의를 제출했다.
     
    정부는 서면질의에서 중국 정부를 상대로 △북한을 포함한 해외 출신의 이탈자가 접근할 수 있는 망명절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 △인신매매, 강제결혼 및 여타 형태의 착취에 노출된 북한을 포함한 해외출신 여성이탈자 보호와 지원을 위해 취하고 있는 조치는 무엇인지 △중국 국내법에 따라 "불법 체류자(illegal immigrants)"로 분류되는 북한을 포함한 해외 출신 여성 이탈자들이 중국에서 출산한 자녀들에 대한 보호 및 지원을 위해 취하고 있는 조치는 무엇인지 등을 질의했다.
     
    탈북자와 국군포로에 대한 강제송환 문제가 핵심으로 다뤄지는 이번 중국 UPR에서 151개국이 발언을 신청한 가운데 북한은 25번째, 한국은 102번째 발언국으로 나선다. 우리 정부는 국군포로와 그 가족을 포함한 탈북자에 대한 강제송환금지 원칙 준수를 중국에 권고할지를 검토 중이다.
조문정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24 주요활동 휴전70주년 6.25전시 납북법조인 재조명 세미나 사진 file 운영자02 2023.07.18
423 환송회 (2017.1.23.) file 운영자02 2017.01.23
422 화요집회(제80차,83차,85차) file 운영자02 2020.11.17
421 주요활동 헌법재판소의 대북전단금지법 위헌 결정을 환영하며 운영자02 2023.09.26
420 메인이미지 합동 긴급기자회견 - 살인마 문재인을 고발한다 file 운영자02 2022.07.14
419 주요활동 한전공대 설립 적법성 감사원 국민감사 청구 기자회견_한변 및 신자유연대 주최 운영자02 2023.04.19
418 메인이미지 한변창립5주년&북한인권법 시행 2주년기념, 제1회 북한인권상 시상 및 북한인권법 세미나 file 운영자02 2018.08.31
417 한변사무실 및 공익소송지원센터 출범 안내 1 file 운영자 2016.07.25
416 메인이미지 한변5주년, 북한인권법시행2주년기념 세미나/제1회 북한인권상 시상 file 운영자02 2018.09.06
415 한변/정교모 공동세미나 자료 file 운영자02 2021.11.04
414 한변, 조국사건 금융계좌 및 류대폰 압수수색 영장기각 판사 직권남용 고발(2019.10.17.) file 운영자02 2019.11.07
413 한변, 시변과 통합 / 법률신문 2016. 9, 12일 기사 file 운영자02 2016.09.13
412 한변, 북한인권법 정상집행 촉구하는 제75차 화요집회 개최 file 운영자02 2020.09.08
411 한변, 민갑룡 경찰청장을 국가공무원법 위반 등으로 형사고발 file 운영자02 2019.11.07
410 한변, 대법원에 '정치편향 글' 논란 판사 조치 촉구 file 사무처 2023.08.17
409 한변, 공익소송지원센터 출범식 운영자 2016.07.04
408 한변, 공익소송지원센타 출범식 기사(법률신문) 운영자02 2016.07.29
407 한변 추미에 법무장관 해임 축구 기자회견/ 연합뉴스 기사 file 운영자02 2020.12.10
406 메인이미지 한변 창립9주년 기념식 및 제5회 북한인권상 시상 file 운영자02 2022.09.05
405 메인이미지 한변 창립8주년기념 및 북한인권상 시상(20210910) file 운영자02 2021.09.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