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요활동﹒언론보도

언론보도

[한변 언론보도/ FN TODAY] 민주화 유공자의 정보를 공개하라

by 운영자02 posted Jul 03, 20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파이낸스투데이

민주화 유공자의 정보를 공개하라
  • 이준규
    이준규
  •  승인 2023.06.28 13:57
  •  댓글 0
  •  
  •  
  •  

 
 

더불어민주당이 기존 민주화보상법에 따른 민주화 운동 관련자 9844명 중에서 다치거나 숨지거나 행방불명된 829명을 다시 ‘민주유공자’로 지정해 예우하는 내용의 ‘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안 (민주유공자법)’을 발의하였다. 그런데 그‘민주유공자’ 명단에는 대학생들이 전경을 감금하고, 경찰을 향해 화염병을 던져 7명을 숨 지게 한 1989년 부산 동의대 사건, 프락치로 의심된다며 무고한 시민을 감금·폭행·고문한 1984년 서울대 프락치 사건, ‘김일성 보고문’ 작성 등으로 북한 연계 의혹이 있는 1979년 남조선민족해방 전선(남민전) 사건 관련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 남민전 사건 50명, 동의대 사건 52명, 서울대 고문 사건 5명은 이미 민주화보상법 대상자로 혜택을 받았는데, 더 나아가 그 가운데 일부를 다시 민주 유공자로 선정해 계속 지원하기 위한 입법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위 유공자법이 통과되면 동의 대 1명, 서울대 1명, 남민전 사건에 연루된 2명과 그 가족들이 직접 혜택을 보게 된다. 우리 국민은 불의에 항거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권력에 저항하였다.

2023년 대한민국은 어느 누구도 국민을 억압하려 하거나 권력을 자의적으로 휘두를 생각을 못한다. 권력자도 비판과 조롱의 대상이 되고, 누구든 농담의 소재로 쓸 수 있다. 신문과 언론은 권력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유롭게 비판한다. 그것은 현 세대가 민주화 세대로부터 받은 선물이자, 빚이기도 하다. 그러기에 국민은 그 노력과 헌신, 희생을 높이 평가하여 왔다. 이에 따라 우리 사회는 민주화 운동을 한 사람들에 대해 2015년 ‘민주화운동 명예회복 및 보상법 률’에 따라 보상을 하였고, 세금 1169억원을 투입하여 4988명에 대해 금전적 보상을 하였다.

또 민 주화 운동을 한 사람들은 우리 사회의 중요 결정권자가 되어, 현재 한국 사회의 현재와 미래를 책 임지고 있다. 민주화를 이뤘다는 국민의 자부심은 지금까지 그들에게 충분한 보상을 해주는 것을 용인하여 왔다. 하지만 민주화는 누가 독점할 수 있는 전유물이 아니다. 우리 국민 모두가 참여하여 이룬 성과이 고, 소리 없이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며 민주화를 지지한 조용한 대다수의 국민의 성공이다.

국민 이 원한 민주화는 자유와 법치, 그리고 정의가 살아있는 민주주의 사회이다. 그 사회가 되도록 지 지를 보냈고, 그 사회를 위해 헌신한 사람에 대한 노고에 경의를 표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산업화에 헌신하고 이제 우리 사회의 70~80대 노인분들이 그들이 헌신한 산업화에 대한 보 상 법률을 요구하지 않고, 독립유공자와 6·25참전용사들은 그들의 헌신에 대한 명예와 최소한의 예 우 외에 스스로 법을 만들어 특별한 예우를 해달라거나 스스로 그러한 행위를 하지 않는다.

그것은 그 헌신의 가치가 훼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위 민주화유공법은 민주화 운동권 스스로 추가적 보상을 한다는 것으로서, 특권적 법률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또 민주유공자법의 문제점은 반민주·반대한민국 세력에 대한 예우를 한다는 것이다. 민주화 운동은 자유 민주주의를 확립하려는 국민적 저항운동이므로, 북한의 주체사상을 추종하거나 공산주의 혁명을 시도한 운동은 여기서 말하는 민주화 운동으로 볼 수 없다.

 

그 반민주·반대한민국 세력이 한 폭력까 지 보상하는 것은 민주화 운동에 대한 예우를 하고자 하는 법률의 목적을 애초에 벗어난 것이다. ‘민 주유공자’명단에 남민전 사건이나 서울대 프락치 사건 등이 포함된 것은 유감이다. 또한, 국가기록원이 국가보훈부의 민주유공자 행적확인을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거부한 것은 납득하 기 힘들다.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한 사람은 국가와 사회가 예우하고 존경하여야 하고, 그것 이 다시 독재를 불러들이지 않는 방패막이가 된다.

그러기에 그 민주주의에 대한 헌신자들을 국민 앞에 모두 공개하여 그 헌신의 가치를 추앙할 필요가 있다. 민주화보상법과 518민주화운동특별법에 의한 희생자도 공개하여 사회적 존경과 추모의 공간이 되도록 하는 것은 현 사회 우리의 의무다. 민주화를 일부 운동권 세력의 전유물로 생각하고, 그들로 하여금 사회의 특권층으로 거듭나게 하려 는 ‘민주화예우법’은 민주주의를 가로막는 적이다. 민주주의는 특권이 아니라 헌신에 의해 유지된 다.

2023. 6. 28.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

회장 이재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64 [긴급성명/대법원앞] 김명수 대법원장은 사퇴하라-사법부 신뢰회복을 바라는200인 변호사긴급성명 (2018/12/12) file 운영자02 2019.01.11
363 [김대훈대표 사회공헌대상 수상] file 운영자02 2016.12.15
362 [김대훈회장,기자간담회 발언 뉴데일리 신문기사] 국회에서 자유한국당 북한선원 강제북송관련 (2019.11.15) 운영자02 2019.12.06
361 메인이미지 [김명수 퇴진 공동 기자회견/한변, 국민의힘당 ] 권력에 충성하는 거짓의 '명수'대법원장 김명수는 사퇴하라! (20210423) file 운영자02 2021.04.23
360 [김태훈 대표 표창장 수여] 운영자02 2017.01.13
359 [김태훈대표 동향] 제네바에서 개최된 유엔인권이사회 제34차 회의에 참석 file 운영자02 2017.03.14
358 [김태훈대표 신문기사 ] 인권단체들,유엔서'KAL납치사건' 피랍자 송환촉구 file 운영자02 2019.03.15
357 [김태훈대표, 연합뉴스에 실린글] 국제NGO·한변, 유엔서 北수용소 고발…"김정은 처벌해야" 운영자02 2017.03.20
356 [김태훈상임대표 인터뷰 신문기사,서울경제] [오현환 논설위원의 淸論直說] “한반도 문제 핵심은 인권... 北주민 권리 회복돼야 통일 가능” (2019.03.25.) 운영자02 2019.03.29
355 [김태훈회장 ,제7회 유기천 법률문화상 수상/ 법률신문기사] (20200914) 운영자02 2020.10.03
354 [김태훈회장 1인시위/자유아시아방송기사/‘1인시위 돌입’ 한변 “한국 정부, 북 인권법 정상집행해야” 운영자02 2020.09.02
353 언론보도 [김태훈회장 인터뷰/ 월간조선 뉴스룸 2021.4월호]100회 맞는 북한 인권 화요집회 이끌어온 김태훈 한변 회장 운영자02 2021.04.23
352 [김태훈회장,문화일보기사/포럼]5·18 민주정신 훼손하는 與 처벌법案 운영자02 2020.11.02
351 [김태훈회장/조선일보기사] 노영민 고소한 老변호사 "세상이 날 이렇게 만드네” 운영자02 2020.11.17
350 [답사 ] 연천 대전리 산성과 임진강 고구려 3대성 file 운영자02 2017.07.14
349 [대토론회] 감경수 여론조작 판결 분석대토론회 행사모습 file 운영자02 2019.02.22
348 [대토론회] 김경수 여론조작 판결 분석대토론회 file 운영자02 2019.02.15
347 [대한변협신문기사] 2018북한인권백서 발간기념보고회 /김태훈대표, 이재원변호사발언 운영자02 2018.10.23
346 [동아일보,열린시선에 기고된 김태훈대표님글] 북인권에 3년 연속 경고, 공개처형 참상에 분노를 file 운영자02 2016.11.16
345 [멘토와 멘티와의 만남 및 세미나] (2019.11.8.) file 운영자02 2019.11.1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