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요활동﹒언론보도

[인터뷰] 미주 중앙일보/ 이효은

by 운영자02 posted Jul 31, 2017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2.png

대표님과 한변에 대한 소개와 설립이유:
97년 서울지방법원 부장 판사로 퇴직 후 변호사 일을 시작, 06년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으로 임명됐
다. 그 전까지는 북한인권에 대해서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위원들 대부분이 북한인권에 대해 관심이 없
는 것을 보며 북한인권을 위해 목소리를 내야겠다고 생각했다. 마침 그 해에 대한변호사협회에서 북한
인권백서 소위원회가 발족이 되어 가입, 그 때부터 북한인권백서를 만들었다. 그러던 중, 변호사라면 인
권을 가장 우선시 해야 하는데 북한인권을 위해 일하는 변호사가 너무 적다고 생각했다. 2012년 인권
위원회 퇴직 후 1년간 생각을 하고 2013년 9월10일 한변을 만들었다.


한변의 주요 이벤트:
국제활동, 캠페인, 입법활동, 법률지원활동 등을 하고 있다. 탈북민의 보호와 정착을 위해 무료로 법률
지원을 한다. 그리고 북한 내 주민들의 인권을 남한에서라도 향상시키기 위한 법인 북한인권법제정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미국은 06년에 그리고 일본은 그 이후에 제정이 되었으나, 한국만 북한인권법
이 제정이 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각계각층의 인사들을 불러 세미나, 공청회 등을 열어서 북한인권법
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켰다. 화요집회도 진행했다. 국회, 정부, 정당 앞에서 일반시민 그리고 변
호사들과 함께 캠페인을 진행했으며 또한 유엔 제네바 회의 참여를 통해 북한인권실태를 알리려 노력했
다.

 

한변을 통하여 바라는 사회적 혹은 다방면에서의 변화:
인권이 바로 서기 위해선, 대한민국의 법치주의와 자유민주주의가 바로 서야 한다. 자유민주주의는 대
한민국의 정체성이고, 이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서는 북한의 수령절대주의에 맞서서 북한주민의 인권을
살리고 대한민국을 튼튼하게 해야 하는데 유감스럽게도 그에 반하는 일들이 많다. 대한민국의 자유민주
주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것을 통해서 북한인권을 개선하고 더 나아가 통일을 하는 것, 한반도의 자유
와 인권이 숨쉬는 나라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고 바라는 변화다.


대표님에게 있어서 통일이란:
통일은 시대적 사명이다. 통일은 이해타산을 따지는 일이 아니라 헌법에 나와있듯 북한은 우리땅이고
우리민족이기에 피할 수 없는 운명이고 숙명이다. 북한주민이 인권을 모르기 때문에 북한의 체제에 수
긍하는 것이다.


인터뷰를 마무리하며:
이미 나는 나이가 많다. 젊은이들이 학교에서부터 북한 인권과 통일에 대해서 교육을 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고 관심을 가지면 좋겠다. 나는 한국전쟁을 알고 있다. 많은 이들이 자유와 인권을 얻기 위해서 희
생을 했다. 자유의 소중함을 어렸을 때부터 배워야 한다. 국민들이 북한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이유는
교육의 부재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젊은이들이 북한인권유린실태의 심각성을 깨닫기를 바란다. 지금도
정치범수용소에서 8만이 죽어간다. 북한 전체가 감옥인데 다른 나라에게 관심을 주기 전에 북한에 대해
서도 생각을 해야 한다. 남한의 인권을 이야기하는데 북한도 우리땅이고 대한민국 국민이다. 가장 기초
적인 죽고사는 문제에 대한 구제부터가 중요하다.


대표님과의 인터뷰 중 가장 마음에 와 닿은 말씀은 “인권으로 통일로”였다. 인권의 신장이 그 들과 우리
에게 통일과 자유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빛나는 눈동자와 힘 있는 목소리로 전하시던 순간을 잊을 수 없
다. 인권과 자유 그리고 통일은 알고 보면 먼 이야기가 아닌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아주 기본적인 그
러나 숙명적인 일이 아닐까?
이 효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4 [발언대/이용우 전 대법관/ 법률신문] 사법부독립을 걱정하는 이유 - 법원조직법 개정은 신중을 기해야 - 운영자02 2020.09.04
83 [미래한국 신문기사] 변호사단체 ‘한변’ “국회 자문위 개헌안은 자유민주주의 부정…우려돼” 운영자02 2018.02.02
82 [미래한국 기사내용, 한변 북한인권법 통과 1주년 기념 토론회] 운영자02 2017.03.03
81 [문화일보, 포럼]정양모- 6.25납북자 가족 전 국립중앙박물관 관장 운영자02 2020.07.06
80 [멘토와 멘티와의 만남 및 세미나] (2019.11.8.) file 운영자02 2019.11.13
79 [동아일보,열린시선에 기고된 김태훈대표님글] 북인권에 3년 연속 경고, 공개처형 참상에 분노를 file 운영자02 2016.11.16
78 [대한변협신문기사] 2018북한인권백서 발간기념보고회 /김태훈대표, 이재원변호사발언 운영자02 2018.10.23
77 [대토론회] 김경수 여론조작 판결 분석대토론회 file 운영자02 2019.02.15
76 [대토론회] 감경수 여론조작 판결 분석대토론회 행사모습 file 운영자02 2019.02.22
75 [답사 ] 연천 대전리 산성과 임진강 고구려 3대성 file 운영자02 2017.07.14
74 [김태훈회장/조선일보기사] 노영민 고소한 老변호사 "세상이 날 이렇게 만드네” 운영자02 2020.11.17
73 [김태훈회장,문화일보기사/포럼]5·18 민주정신 훼손하는 與 처벌법案 운영자02 2020.11.02
72 언론보도 [김태훈회장 인터뷰/ 월간조선 뉴스룸 2021.4월호]100회 맞는 북한 인권 화요집회 이끌어온 김태훈 한변 회장 운영자02 2021.04.23
71 [김태훈회장 1인시위/자유아시아방송기사/‘1인시위 돌입’ 한변 “한국 정부, 북 인권법 정상집행해야” 운영자02 2020.09.02
70 [김태훈회장 ,제7회 유기천 법률문화상 수상/ 법률신문기사] (20200914) 운영자02 2020.10.03
69 [김태훈상임대표 인터뷰 신문기사,서울경제] [오현환 논설위원의 淸論直說] “한반도 문제 핵심은 인권... 北주민 권리 회복돼야 통일 가능” (2019.03.25.) 운영자02 2019.03.29
68 [김태훈대표, 연합뉴스에 실린글] 국제NGO·한변, 유엔서 北수용소 고발…"김정은 처벌해야" 운영자02 2017.03.20
67 [김태훈대표 신문기사 ] 인권단체들,유엔서'KAL납치사건' 피랍자 송환촉구 file 운영자02 2019.03.15
66 [김태훈대표 동향] 제네바에서 개최된 유엔인권이사회 제34차 회의에 참석 file 운영자02 2017.03.14
65 [김태훈 대표 표창장 수여] 운영자02 2017.01.13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