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주요활동﹒언론보도

[신문기사]NEW DAILY

by 운영자02 posted May 19, 20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文 정부 '사드 재검토' 시사에 '강력 반발'

한변 "대한민국이 중국 속국인가?"

한변 변호사들 "'軍 장비 도입 시 국회 비준 필요' 주장, 상식적으로 납득 안돼"

 

강유화 기자 프로필 보기 | 최종편집 2017.05.18 18:48:28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여민관 회의장을 방문해, 매튜 포틴저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사진DB

문재인 정부가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와 관련 국회 동의 절차를 추진하겠다고 시사하는 등 사드 배치를 재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한 변호사 단체가 "군(軍) 장비 배치를 국회가 동의하는 일은 전례도 없는 일"이라며 강력 반발하는 입장을 밝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한반도인권과 통일을위한 변호사모임(이하 한변)은 18일 성명서를 통해 "사드배치는 국회의 동의 사항이 아니"라며 "청와대와 여당이 국회의 동의절차를 추진하려고 하는 실질적 이유는 중국의 반대에 있다"고 밝혔다. 

한변은  "대한민국이 군 장비의 배치에 대해 국회의 동의를 받은 전례(前例)가 없다"며 "문면 상으로도 기존 한·미 상호방위조약과 주한미군지위협정(SOFA)에 따라 도입된 사드 배치가 헌법에서 말하는 국회 비준이 필요한 새로운 조약이라고는 도저히 해석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한변은 "국회의 동의절차를 추진하려는 실질적 이유는 중국의 반대에 있다"고 전제한 뒤 "안보 문제에서조차 중국의 눈치를 보고 있다. 지난 4월 미․중 정상회담에서 '한국은 역사적으로 중국의 일부'라는 충격적인 중국의 주장이 그대로 통하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국정 책임자들은 더 이상 한국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태도를 취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정의용 청와대 외교안보 태스크포스(TF) 단장은 일부 언론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한반도 사드 배치와 관련해 "재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정 단장은 지난 16일 매슈 포틴저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과의 면담에서도 사드배치와 관련 국회 비준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4 김진태 전 의원 한변 고문으로 [한변 운영위원회] 20210308 file 운영자02 2021.03.08
123 김태훈 대표 북한인권단체 연합회 발제(2016.6.7) file 운영자02 2016.01.31
122 김태훈 대표, 대한변협 통일문제연구위원회 위원장 위촉 file 운영자02 2016.08.03
121 김태훈 대표,74차 유엔총회 제3위원회 북한인권 세션 참관(2019.10.23) file 운영자02 2019.11.07
120 뉴데일리; "北 주민, 김정은정권 노예상태.. 인권만이 통일 지름길 운영자 2016.06.18
119 대한민국 건국 70주년 기념 세미나 (2018.8.9.)/김태훈 회장 발제 file 운영자02 2018.08.10
118 메인이미지 대한민국 건국70주년 기념행사 file 운영자02 2018.08.13
117 대한변협 제1차 통일문제연구위원회 개최 / 대한변협신문 file 운영자 2016.09.14
116 동아일보 12인 탈북민에 관한 기사중 한변 인터뷰내용 file 운영자02 2016.07.29
115 방송,유튜브와 표현의 자유 행사 file 운영자02 2019.06.21
114 법치수호의날 기념행사 초청장 file 운영자02 2019.04.24
113 변호사 시국선언 서명 2 file 운영자 2019.09.19
112 변호사단체장 연석회의 (2016.6.13) file 운영자02 2016.07.29
111 북송반대 집회 file 운영자02 2019.10.15
110 북한이탈주민의 보호를 위해 인신보호법 개정 촉구서를 국회에 제출 file 운영자 2016.07.18
109 북한인권법 시행 4주년 기자회견및 축하영상/ 토마스 퀸타나(유엔인권 특별보좌관) 20200904 file 운영자02 2020.09.07
108 북한인권법 통과 5주년 및 화요집회 100회 기념 세미나 (20210302) 운영자02 2021.03.08
107 메인이미지 북한인권법 통과1주년 기념 토론회 file 운영자02 2017.03.02
106 북한인권법제정 촉구, 김문수.한기호. 조명철 사자후 file 운영자 2016.06.17
105 사단법인 북한인권 발기인대회 file 운영자02 2022.08.03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2 Next
/ 22
위로